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제습기 잘 고르는 방법

근보니로움(근육과 뼈를 이롭게 함) 2024. 5. 31. 00:23

목차



    반응형

     

     

     

    우리나라의 여름은 기후 특성상 습도가 매우 높은 특징이 있습니다. 6~7월 중 장마 기간에는 실내 습도가 90%까지 올라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경우 특히 노후된 건물에서는 곰팡이가 발생하기 쉽고, 체감온도가 실제 온도보다 더 높게 느껴집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습기가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제습기를 통해 실내습도를 40~60%까지 감소시키면 체감온도도 낮출 수 있기 때문입니다. 

     

     

     

    1. 제습기 잘 고르는 방법 - 일일제습량

    제습기를 배치할 공간의 크기에 따라 적합한 용량의 제품 고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제품마다 24시간 기준으로 습기의 양을 제거할 수 있는 일일제습량을 확인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즉, 얼마나 많은 양을 빠르게 제습시킬 수 있는지 판단할 수 있는 척도가 됩니다.

    면적 10평 대 20평 대  30평 대 40평 대 이상
    일일제습량 6~8L 10L 14~15L 16~20L
    가격 12~15만원 정도 18~20만원 정도 20원 대 30~40만원 대

     

    제습기를 배치할 공간의 평수가 애매한 경우에는 일일제습량이 높은 것을 사는 것이 좋습니다. 위 표의 내용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기 때문에 참고해서 각자에게 맞는 제습기를 경제적으로 구매하시길 바랍니다. 

     

    2. 제습기 잘 고르는 방법 - 물통용량

    제습기는 제습 시, 물통을 비우는 형태와 호스로 연결하여 배수관으로 흘려보내는 형태가 있습니다. 만약 비교하는 제품 중 일일제습량과 가격이 비슷하다면 물통용량이 최대한 큰 제습기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물통용량이 클수록 제습을 오랫동안 지속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물통용량이 가득 차면 제습기의 작동이 중단되기 때문에 물통을 비워내고 다시 작동시켜야 합니다. 반면 물통을 비워내는 번거로움을 없애기 위해 호스를 연결하여 물을 배출하는 제습기도 있습니다. 물통이 있는 제습기에 비해 이용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3. 제습기 잘 고르는 방법 - 에너지 효율 등급

    전기세 절감을 위해 에너지 효율 등급이 높은 제습기를 구매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장마철의 경우에 오랫동안 틀어놓아야 되기 때문에 에너지 효율 등급에 따라 전기세 차이가 크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4. 제습기 잘 고르는 방법 - 저소음

    제습기를 구매할 때 소음이 어느 정도인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소음은 최대한 낮으면 낮을수록 좋습니다. 저는 최소한 40dB 이하 수준의 제습기를 추천합니다. 소음의 정도에 따른 제품의 가격 차이는 크게 나지 않습니다. 일상생활에서는 크게 상관없을 수 있지만, 침실에 배치할 제습기의 경우 질 높은 수면을 위해서 최대한 소음이 낮은 제습기를 구매하는 것이 좋습니다.

     

    5. 제습기 잘 고르는 방법 - 바퀴 유무

    대용량 제습기의 경우 바퀴의 유무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한대만 구매하는 경우, 침실, 거실, 화장실 등으로 이동시키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에 이동성이 편리해야 합니다. 

     

    6. 제습기 잘 고르는 방법 - 작동온도범위

    제습기는 여름뿐만 아니라 사계절 동안 작동할 수 있으면 효과적인 구매가 될 것입니다. 제습기를 365일 내내 잘 활용하기 위해서는 작동온도범위를 조절할 수 있는 제품이 좋습니다. 제습기는 제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15~40도 수준으로 일정한 실내온도가 정해져 있습니다. 그래서 실내온도가 15도 아래로 내려가는 겨울철에는 제습기를 작동시켜도 제습이 잘 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그래서 작동온도범위를 5~50도로 설정하여 작동시킬 수 있는 제습기가 좋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