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건강

소뇌실조증의 원인과 특징, 검사 방법, 치료 방법

근보니로움(근육과 뼈를 이롭게 함) 2024. 3. 23. 22:43

목차



    반응형

    - 소뇌실조증의 원인

    소뇌실조증선천적 또는 후천적 소뇌 손상으로 인한 기능 이상에 따라 협응 운동 장애가 나타나는 신경학적 질환입니다. 

    소뇌실조증의 원인은 크게 유전성 요인과 비유전성 요인으로 구분됩니다. 유전성 요인으로는 특이 질환 없이 단독으로 발생되는 경우입니다. 비유전성 요인은 암, 뇌졸중, 외상, 감염 등으로 인한 뇌 손상, 비타민 B1, B12, E 등의 결핍, 다발성 경화증, 뇌혈관염 등의 자가면역 질환, 저혈당증, 갑상선 기능 저하, 등의 대사성 질환, 척수소뇌실조증 등의 신경퇴행성 질환, 신경 안정제, 일부 항생제, 알코올 등의 약물 중독이 해당됩니다.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 소뇌

    - 소뇌실조증의 증상

    소뇌실조증의 경우, 매우 다양한 증상이 나타납니다. 첫째, 조화운동불능입니다. 균형과 운동 제어 능력이 저하되어 보행과 세밀한 움직임이 어렵습니다. 둘째, 상반운동반복장애입니다. 상체 움직임의 반복 시, 조절의 어려움이 나타납니다. 셋째, 활동 떨림입니다. 넷째, 근육 긴장도 저하입니다. 근육 긴장도 저하는 운동 기능의 약화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단,근력 소실은 크게 나타나지 않습니다. 다섯째, 보행 시 넓은 BOS(Base of support)입니다. 평형 장애로 인해 넘어지지 않기 위해 본능적으로 넓은 BOS가 나타납니다. 여섯째, 안구진탕입니다. 눈의 안정성 저하로 인해 시야의 안정성과 이동 시 불안정한 감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일곱째, 언어 장애입니다. 소리의 높고 낮음, 길고 짧음, 강약 조절이 되지 않아 언어적 결함이 나타납니다. 이러한 증상들은 소뇌실조증의 진단과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소뇌실조증의 검사 방법

    위에 언급한 소뇌실조증의 증상들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롬버그 검사부터 겨냥이상 검사, 실조떨림 검사, 실조보행 검사, 근육긴장도 검사, 8자 검사, 손가락맞대기 검사, 발꿈치-무릎 검사, 두드림 검사, 눈떨림 검사, 언어장애 검사, 대항운동반복 검사, 민첩성 검사 등 매우 다양한 검사 방법이 있습니다. 이 각각의 검사법은 운동실조형에서만 나타나는 특징적 움직임 패턴의 유무를 검사하게 됩니다. 그러나 이러한 움직임 패턴의 단순 유무의 판단으로는 장애 정도의 심각도(severity)를 정확히 판단하기는 어렵습니다. 그래서 더 정확하고 통합적인 검사 방법으로 'K-SARA' 검사법이 있습니다. 이 검사법은 'Korean Version of the Sensory Organization and Balance Test for Stroke Patients"의 약자로, 소뇌실조증을 비롯하여 뇌졸중 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감각 조직 및 균형 검사입니다.  K-SARA는 시각, 전정 및 체성감각과 같은 다양한 감각 체계를 평가하여 환자의 균형 기능을 종합적으로 평가합니다. 걷기, 서기, 앉기, 구어(평소처럼 대화), 손가락 따라가기, 코-손가락 검사, 손바닥빨리뒤집기, 발꿈치-정강이 긇기 검사와 같이 8개의 카테고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0점은 독립적인 수행이 가능한 정상인 상태를 의미하고, 점수가 높을수록 독립적인 수행이 어려워 보조가 많이 필요한 상태를 의미합니다. 검사자 간의 신뢰도 0.985, 검사자 내 신뢰도 0.965가 나온 신뢰도 높은 평가도구인 만큼, 롬버그 검사와 함께 병원의 물리치료실에서 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이처럼 K-SARA 검사는 소뇌 손상 후 균형 장애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와 개인 맞춤형 치료 방법을 개발하는 데 중요한 도구입니다.

     

    - 소뇌실조증의 치료 방법

    소뇌실조증의 치료 방법으로는 물리치료, 작업치료, 언어 및 인지치료, 약물치료가 있습니다. 물리치료는 균형 감각과 운동 기능을 향상시키는 것에 집중합니다. 머리와 몸통 조절에서 부터 앉아서 균형 잡기, 서서 균형 잡기, 보조도구를 활용한 보행 훈련, 그리고 프랭켈 운동, 공 주고 받기, 기능적 뻗기 운동 등 과제지향훈련 등으로 진행됩니다. 작업치료는 주로 기능 향상 및 일상 생활 동작의 재교육이 진행됩니다. 언어 및 인지 치료는 환자의 발음, 언어 이해, 기억 및 인지 기능을 향상시키는 훈련이 진행됩니다. 약물 치료는 근육의 경직을 완화하기 위한 근이완제가 적용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치료 방법들은 환자의 증상을 관리하고 기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개별적인 치료 계획은 환자의 증상과 요구, 심각도에 따라 맞춰서 진행되어야 합니다.

     

     

    반응형